DNS란? - dns 개념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예: www.amazon.com)을 머신이 읽을 수 있는 IP 주소(예: 192.0.2.44)로 변환하는 하는 것
웹페이지 로드와 관련된 4개의 DNS서버들
- DNS 리커서
리커서는 도서관에서 특정 책을 찾으라는 사서라고 생각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와 같은 앱을 통해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쿼리를 수신하도록 설계된 서버이다. - 루트 네임서버
루트서버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소스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는 첫 번째 단계이다. 서로 다른 책꽂이를 가리키는 도서관의 색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좀 더 구체적인 위치에 대한 참조 역할을 한다. - TLD 네임서버
Top level domain server, TLD는 도서관의 특정 책꽂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네임서버는 특정 ip주소 검색의 다음단계이며 호스트 이름의 마지막 부분을 호스팅한다. naver.com에서 TLD서버는 com이다. - 네임서버
네임서버는 영문 도메인을 네 자리의 IP주소로 바꿔주는 서버를 말한다. 특정 이름을 해당 정의로 변환 할 수 있는 책꽂이의 사전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인터넷에 도메인을 입력할 때 도메인 등록 시 지정된 네임서버를 통해 해단 도메인과 연결된 IP주소를 확인한다.
위의 그림을 따라 아래의 10가지 순서로 dns는 작동한다
- google.com을 입력하면 쿼리가 인터넷으로 이동하여 재귀DNS 확인자가 받는다.
- 확인자는 DNS 루트네임서버에 쿼리요청이 들어간다.
- 루트서버는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TLD DNS 서버(.com, .net) 주소로 해석기에 응답한다. google.com을 검색할 때 요청은 .com, TLD를 가리키는 것이다.
- 확인자는 .com TLD에 요청한다.
- 다음 TLD 서버는 도메인 네임 서버인 google.com의 IP주소로 응답한다.
- 마지막으로 재귀 확인자는 도메인의 네임서버에 쿼리를 보낸다.
- 그러면 google.com의 IP주소가 네임서버에서 해석기로 반환된다.
- 그런 다음 DNS확인자는 처음에 요청한 도메인의 IP주소로 웹 브라우저에 응답한다. DNS조회가 8단계가 example.com의 IP주소를 반환하면 브라우저는 웹페이지를 요청할 수 있다.
- 브라우저는 IP주소에 HTTP요청을 한다.
- 해당 IP의 서버는 브라우저에서 랜더링할 웹페이지를 반환한다.
브라우저 dns 캐싱
- 최신 버전에서는 일정 시간동안 DNS 레코드를 캐시하도록 되어있다
크롬에서는 chrome://net-internals/#dns 다음과 같은 주소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자주 사용하는 학교 eclass 주소를 넣어보니
브라우저가 해당 도메인에 대한 DNS 쿼리를 수행하고, 쿼리 결과를 캐싱하여 나중에 동일한 도메인에 대한 요청에 대해 다시 DNS 서버에 문의하지 않고 바로 캐시된 결과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NS 레코드
DNS Record는 DNS 서버가 해당 패킷을 받았을 때 어떤식으로 처리할지를 나타내는 지침을 말한다.
아래의 레코드들을 이후 실습에 활용하였다.
A | 호스트 이름을 IPv4 주소로 매핑하는 주소 레코드입니다. / 해당 주소가 가지고 있는 Ip |
AAAA | 호스트 이름을 IPv6 주소에 매핑하는 IPv6 주소 레코드입니다 |
NS | 네임서버 레코드입니다. DNS 영역을 권한 서버에 위임합니다. / 영역을 풀이 할 수 있는 DNS 서버 목록 |
DNS Zone
DNS Zone 이란 특정 기관이나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DNS 정보의 영역이다. 따라서 DNS 정보를 관리상의 목적으로 계층적인 영역(Zone)으로 만든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한편 zone 파일은 각 zone의 정보와 zone내의 레코드 정보들을 기술한 파일들이다. 이 파일은 dns 서버에 존재하고 설정파일 및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var/named/userdomainname.com.zone 와 같은 경로에 저장하거나 생성한다
참조
https://velog.io/@john_with_smile/DNS%EB%9E%80
DNS란?
Domain Name System, DNS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와 같다. 사람은 naver.com, google.com 도메인 이름을 통해서 접속한다.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통해서 상호작용하는데, DNS는 웹 브라우저
velog.io
https://www.cloudflare.com/ko-kr/learning/dns/what-is-dns/
https://inpa.tistory.com/entry/WEB-🌐-DNS-레코드-종류-★-알기-쉽게-정리
🌐 DNS 레코드 종류 ★ 완벽 정리
DNS 레코드 DNS Record는 DNS 서버가 해당 패킷을 받았을 때 어떤식으로 처리할지를 나타내는 지침을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 DNS 상에서 도메인에 관한 설정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련의 설정 문자라
inpa.tistory.com
https://blog.naver.com/techtrip/222154620404
DNS(Domain Name System) Zone을 이해하자
DNS Zone 이란 무엇인가? DNS Zone 이란 특정 기관이나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DNS 정보의 영...
blog.naver.com